Seminar #1
갯벌:
가장자리에서 관문으로
Getbol: From Marginal Area to Gateway
큐레이터 김금화(베를린 소재)와 김정화(라스베가스 소재) 교수가 공동 기획한 겟벌랩의 세미나는 인류학자, 생물학자, 환경운동가, 건축가, 도시계획가 등 다양한 강연자들을 한자리에 초대합니다. 다학제적 논의를 통해 인간과 비인간, 도시와 어촌, 바다와 육지의 섬세한 균형을 탐구합니다.
김 준 (전남대학교 학술연구교수)
︎ 갯벌의 인문학적 가치와 어촌의 지속
구본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 다윈의 마지막 아이디어로 들여다 본 갯벌
박선미 (시화호생명지킴이 대표)
︎ 서식지 보전과 생물다양성
유영수(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교수)
︎ 갯벌, 사람의 땅일까 바다의 땅일까?
︎ 갯벌의 인문학적 가치와 어촌의 지속
구본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 다윈의 마지막 아이디어로 들여다 본 갯벌
박선미 (시화호생명지킴이 대표)
︎ 서식지 보전과 생물다양성
유영수(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교수)
︎ 갯벌, 사람의 땅일까 바다의 땅일까?
장소 ︎ 서울 성동 소셜벤처허브센터 8층 교육장
시간 ︎ 2023.07.21 / 14:00-17:30 KST
언어 ︎ 한국어
큐레이션 ︎ 김금화, 김정화
주관 ︎ 갯벌랩, 유쾌한
시간 ︎ 2023.07.21 / 14:00-17:30 KST
언어 ︎ 한국어
큐레이션 ︎ 김금화, 김정화
주관 ︎ 갯벌랩, 유쾌한
갯벌은 한동안 인프라 이데올로기와 함께 ‘쓸모없는 땅’으로 여겨져, 그 결과 지난 세기 동안 한국 갯벌의 절반 가량이 간척으로 사라졌다. 그러나 오늘날 기후변화와 한국 갯벌의 세계유산 지정은 갯벌에 대한 이러한 인간 중심적 사고를 교정하길 요청하고 있다. 이제 갯벌을 인간과 비인간(More-than-Human)을 연결하는 중간 지대로, 어촌 공동체의 문화적 뿌리로, 생태계의 역동성과 수많은 생물체의 공존을 이해하는 현장으로 재발견 할 때다. 이와 함께 자연에 대한 건설(making)지상주의를 반성하고, 복합적이며 유연한 접근법인 해체(un-making)적 디자인을 논의 할 시점이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갯벌랩의 김금화 큐레이터와 김정화 교수가 공동으로 기획한 본 세미나는 국내외 생태학자, 인문학자, 건축가, 예술가, 큐레이터와 함께 인간과 비인간, 도시와 어촌, 해양과 육지의 공생적 관계에 대한 다학제적 고찰을 시도하며 갯벌을 대하는 대안적 패러다임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갯벌랩의 김금화 큐레이터와 김정화 교수가 공동으로 기획한 본 세미나는 국내외 생태학자, 인문학자, 건축가, 예술가, 큐레이터와 함께 인간과 비인간, 도시와 어촌, 해양과 육지의 공생적 관계에 대한 다학제적 고찰을 시도하며 갯벌을 대하는 대안적 패러다임을 모색하였다.
김준 전남대학교 교수는 "갯벌의 인문학적 가치와 어촌의 지속"이라는 주제로, 사회학자의 시각에서 한국의 고유한 어촌 공동체에서 갯벌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 이야기 나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구본주는 찰스 다윈의 마지막 아이디어인 "지구 표면의 흙을 끊임없이 혼합하는 지렁이가 지구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개념을 갯벌 생태계에 적용하여, 갯벌 생물이 만든 다양한 흔적과 눈에 보이지 않지만 흙 속에 숨어 있는 거대한 공간에 대해 살펴보았다. 시화호생명지킴이 대표 박선미는 “서식지 보전과 생물다양성"을 주제로, 시화호를 중심으로 갯벌의 생태적 가치에 대한 최근 논의와 시민사회의 활동 내용을 공유하며, 갯벌 생태계의 작동 방식과 다양성에 대해 발표했다. 유영수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교수는 "갯벌, 사람의 땅일까 바다의 땅일까?"라는 주제로, 인천시의 갯벌 관련 도시계획 방향과 사업을 검토하고, 최근 서해안 섬 마스터플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갯벌 경관에 대한 도시, 건축, 조경 분야의 새로운 접근법을 논의했다.